부모 학력·소득 따른 성적 차이, 9년새 美 13점·英 8점 줄였지만 韓, 13점 늘어 회원국 평균 이상

[뉴스분석]

한국은 부모 배경 영향력 늘고 교육 형평성 줄어 국제 흐름 역행

  한국에선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을 듣기가 더욱 어려워진 반면 미국에선 교육을 통한 신분상승 기대감이 조금씩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이나 소득수준이 학생들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이 한국에선 갈수록 커지고 있고, 미국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드러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발표한 '2015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PISA)'에서 소속 35개 회원국 학생들의 읽기·수학·과학 성적과 함께 학생의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이 과학 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 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35개 회원국 부모의 직업과 교육 수준, 집안의 책 보유 규모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벌여 이 결과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비교한 것이다.

 그 결과 한국 학생들의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에 따른 점수 차이는 2006년 31점에서 2015년 44점으로 13점이나 커졌다. 부모의 학력·소득수준이 높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의 성적 차이가 9년 전보다 더 벌어진 것이다. 

 반면 미국은 이 격차를 9년 만에 13점이나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과 덴마크도 8점, 7점씩 줄였다.

 OECD 전체 회원국의 평균 점수는 9년 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한국은 OECD 평균(38점)보다 오히려 6점 높아졌다.

 OECD는 각국에서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수준이 하위 25%에 속하는 학생 가운데, 자신과 비슷한 배경을 가진 전 세계 학생 중 상위 25%에 해당하는 성적을 받은 경우를 '회복력 있는 학생(resilient students)'으로 규정한다.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고 높은 성적을 받는, 이른바 '개천에서 난 용'이 많은 회원국을 그만큼 '교육 형평성'이 높은 국가로 보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은 이런 학생이 지난 2006년 43.6%에서 지난해 40.4%로 3.2%포인트 줄었다. 사회·경제적 배경이 하위 25%인 한국 학생들의 과학 성적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그 비율은 소폭 떨어진 것이다.

 반면 OECD 국가 평균은 같은 기간 27.7%에서 29.2%로 1.5%포인트 올랐다. 일본은 2006년 40.5%에서 지난해 48.8%로 8.3%포인트 증가해 1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