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현경숙 기자 = 35년 동안 9조 원을 익명으로 기부해 '자선사업의 제임스 본드'로 불렸던 찰스 F 피니가 지난해 말 700만 달러(한화 약 83억 원)를 대학에 기부함으로써 마지막 재산의 사회 환원을 마쳤다.

뉴욕타임스는 5일 피니가 모교인 코넬 대학에 학생들의 지역사회 봉사 후원금을 내놓음으로써 전 재산 기부 약속을 지켰다고 보도했다. "살아있을 때 나눔을 실천하겠다"고 한 그의 소원도 이루어졌다.

올해 85세인 피니는 1982년부터 익명으로 기부 활동을 해왔으며, 지금까지 약 9조 5천억 원의 개인 재산을 사회 환원했다. 익명을 고집했던 그의 기부 활동이 외부로 알려진 것은 그의 사업체가 분규에 휘말리면서 회계 장부가 공개됐기 때문이다. 장부 조사 과정에서 엄청난 기부 명세가 드러난 것이다.

아일랜드계인 그는 대학을 졸업하고 공항면세점 체인을 설립하면서 큰돈을 벌었다. 1984년 면세점 체인 지분 38.75%를 포함해 전 재산을 자신이 설립한 '애틀란틱 재단'에 넘겼다. 재단 재산은 그가 투자한 페이스북, 알리바바 등 신생 정보기술(IT)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크게 불어났다.

피니는 평생 기부에도 약 5년 전인 81세 때 남은 재산이 15억 달러(약 1조7천억 원)에 달하자, 이를 2016년까지 모두 기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기부로 그는 공식적으로 전 재산을 사회 환원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거액을 다룰 때는 항상 불안하다. 그렇지만 그 일을 꽤 잘한 것 같다"고 털어놓았다.

현재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임대아파트에서 부인과 함께 사는 그는 호화생활과 거리가 멀다. 여행할 때 이코노미석을 타고, 비닐 가방에는 항상 책 한 권을 넣고 다닌다. 뉴욕에 살때는 맨해튼 변두리의 허름한 식당에서 햄버거를 즐겼다.

피니의 기부금 중 27억 달러(3조2천억 원)는 5개 대륙, 1천여 개 기관에 전달됐지만, 이 중 어느 곳도 벽이나 명예의 전당에 그의 이름을 새기지 않았다. 그가 거부했기 때문이다.

그는 사업체 운영으로 벌어들인 수익금 중 운영 자금을 제외한 거의 모든 돈을 대학, 병원, 사회단체 등에 보냈다. 1990년에는 북아일랜드 독립운동 단체인 신페인당에 기부했는데 무장투쟁을 접고 선거 정치를 수용하는 것이 조건이었다. 베트남에는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 치료 기금을 보냈으며, 건강하고 평등한 사회를 만들길 바란다며 개발도상국의 젊은 지도자들을 성원했다.

뉴욕타임스는 평생 기부를 마무리한 피니를 최근 당국의 재단 기금 사용처 조사에 자극받아 개인 기부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비교하고, 둘은 '거울 이미지'(mirror images)라고 지적했다. 두 사람의 활동이 완전히 반대로 보인다는 것이다.

재단 기금을 피니는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사용한 데 비해 트럼프는 자신의 빚을 갚거나 개인 기호품을 사는 데 썼다. 트럼프는 부자 클럽인 '포브스 400' 등에 이름을 올리기 위해 로비를 벌이는 등 안간힘을 썼지만 피니는 여기서 벗어나려 애썼다.

애틀란틱 재단 기금은 전적으로 피니의 돈으로 조성됐지만, 트럼프 재단은 타인들의 돈으로 만들어졌다. 애틀란틱 재단은 국민 건강보험 개혁을 촉구했고, 이는 '오바마 케어'의 밑거름이 됐지만, 트럼프는 취임 후 '1호 정책'이 오바마 케어를 손보겠다는 것이다. 피니 재단은 청소년 사형폐지를 호소하지만, 트럼프는 사형 부활을 주장한다.

신문은 피니가 지금까지 살아왔던 방식과 반대로 산다면 정확히 트럼프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피니는 기부 이유를 묻는 말에 아무리 돈이 많아도 "바지 두 벌을 입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ksh@yna.co.kr